Memory Display 명령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말 그대로 디버깅 중에 메모리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indbg 도움말에는 위와 같이 설명되어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예제로는 CString(CHAR) 형태인 "CwonjaykDoc"라는 문자열을 활용했습니다.- 메모리 주소 : 0x00093a80- 디버깅시 자주 쓰일만한 것만 진하게 처리했습니다. 1. da : ASCII 문자열의 형태로 메모리 출력 2. db : 바이트 단위 배열로 보여주고 ASCII로 해석해서 출력 3. dc : Double-Word 단위로 메모리를 보여주고 ASCII로 해석해서 출력 4. dd : dc와 같지만 ASCII 해석 출력은 제외 5. dD : 메모리를 Double-Precision 소수점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