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S

서비스

MOLOKINI 2014. 5. 11. 21:13
OGC의 필요성 : Open Geospatial Consortium
 - 지리정보시스템 상호간의 확장성, 유연성이 제한되고 시스템의 공간정보 공유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구
 - 집합적으로 상호운영성을 위한 참조 아키텍쳐 구현, 전 세계를 이끌 표준을 만들어내어 확립시키는 것
 
 
OGC 구성

 - 표준 프로그램, 상호 운용 프로그램, 채택 프로그램, 시장 소통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 표준 프로그램

  * 기술 위원회와 계획 위원회로 구성

  * 두 위원회 사이에서 나오는 형식적 합의를 OGC 표준으로 이끌어 내는 역할

 - 상호 운용 프로그램

  * OGC 표준에 알맞는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는 부서

  *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의 개발 속도를 높여준다

 - 채택 프로그램

  * 어플리케이션 구현 후 결정과정에 있어 자원, 실행절차, 규약 부분이 OGC 표준에 맞는지 확인하는 부서

  *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팅, 인증, 브랜드화 작업을 지원한다

 - 시장 소통 프로그램

  * OGC 표준을 따름으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요소를 제안한다.

  * 기술문서, 테스트 도구, 어플리케이션 구현 참조물 등을 제공한다. 출판, 세미나, 컨퍼런스, 워크샵을 기술개발자들을 도와 지원한다.

 

 

OGC 표준 16개 각 테마의 의미,,,,

 - 주제 1 : 지리정보 구성요소
  * 지리정보 요소 중 공간적 특성을 표시하고, 이 묘사한 것들을 이용하여 공간적 처리의 과정을 하나로 일치시키는 표준
 - 주제 2 : 좌표에 의한 공간 참조
  * 현재의 좌표 참조 시스템은 시간에따른 변화를 적용하지 않는다. OGC의 좌표 공간 참조 정의 표준은, 자동차, 배, 비행기 심지어 우주선의 이동경로까지도 참조한다.
 - 주제 3 : 지역적 지리정보
  * 지역적 지리정보를 서술하는데 기술적으로 필수적인 요소와 모델을 현재 사용중인 GIS를 기준으로 표준화 하였다. 간단한 지형요소와 공간 참조 시스템의 지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주제 4 : 저장 기능과 보간 방법
  * 예를 들어, 두 지리정보 G와 R이 있을 때, 이것들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서도 잘 읽어내어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서로다른 인터페이스에서도 읽어낼 수 있게 하는 보간 표준을 정의한다.
 - 주제 5 : OpenGIS 요소
  * 데이터 구조를 명시한다기 보다 지리정보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시멘틱과 실제 세상에 존재하는 것과의 일치되는 점을 분석하여 표준화 하는 작업을 말한다.
 - 주제 6 : 지형정보와 기능의 형식 범위
  * 공간적 특성의 범위를 하나의 형식으로 정의하여 표준화한다. 지리적인 위치에서의 공간, 일시적이거나 시공간상의 속성을 실제 좌표와 합성하는 것으로, 직접 참조할 수 있는 3차원의 위치좌표로 구성되어 있다.
 - 주제 7 : 지구 이미지화
  * 서로 다른 매체로부터 얻어진 지리적 이미지를 하나의 디지털 표현으로 통합시킨다.
  * 상당히 광범위한 주제로, ISO표준을 20여개 참조하고 있다.
 - 주제 8 : 각 요소간 관계
  * 두 개 이상의 엔티티간의 실제 관계를 정의한다.
  * 예를들면, 강과 다리가 있을 경우 강은 다리를 가로지르기도하고, 터널을 통해 지하로 흐르기도 한다, 이와같은 현상을 디지털로 표현하려면 두 엔티티(길, 강)사이의 관계가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함은 물론, 같은 현상이라도 서로다른 표현으로 인해 혼동이 없어야 한다.
 - 주제 9 : 지리정보의 품질
  * 지리정보와 서비스의 최소 요구 범위, 품질, 공간정보, 일시적인 개요, 공간적 참조, 디지털 지리정보 데이터의 분포 정도를 명시하는 표준
  * 지리정보 응용프로그램의 최소부터 최대까지의 메타데이터 범위를 지원한다.
 - 주제 10 : 지리정보 요소 획득 방법
  * 아직 지리정보 요소 획득방법에 대한 표준안을 끌어내지 못했다.
  * 실제 세상의 모든 요소를 기록해야 하는데, 그 요소들 간의 경계와 요소를 찾아내는 문턱치와 조건이 필요하며, 계속 회의를 통해 이끌어 내는 단계이다.
 - 주제 11 : 메타데이터 (각 요소의 내부 속성)
  * 데이터 세트의 목록, 정보센터 활동과 데이터 세트의 전체적인 부분을 명시한다.
 - 주제 12 : OpenGIS 서비스 구조
  * OpenGIS 지리정보 서비스의 구조는 국제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 가능한 공통 데이터 서비스는 인터페이스 표준을 따른다
  * 서비스 카탈로그의 지원 부분은 메타데이터 표준을 따른다
  * 데이터 인스턴스와 서비스 인스턴스의 분리가 필요하다
  * 하나의 서비스와 또 다른 서비스와의 데이터는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 다양한 방법으로 추상적 구조가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주제 13 : 카탈로그 서비스
  * 지리정보의 탐색과 검색기능
 - 주제 14 : 시멘틱과 정보공유 커뮤니티
  * 실제와 투영되는 현실세계 객체들 사이에서 동질적인 부분을 찾는다, 이 부분이 바로 시멘틱 맵, 이것을 통해 집단 메타데이터를 만들어낸다.
 - 주제 15 : 이미지 이용 서비스
  * 사용자 각 개인의 지리정보 이용 방법에 따라 단계별로 사용 방법을 명시해 놓은 서비스
 - 주제 16 : 이미지 좌표변환 서비스
  * 이 서비스는 Image Geometry Model Service(이미지 지형 모델 서비스)로 불리운다.
  * 지면 좌표를 통해 위치를 얻고 그 위에 이미지를 올리게 되는 과정과 위치 정확도에 대한 표준을 명시한다.


센서 웹은 무엇인가

 - 세계에는 수백만개의 인터넷이 연결된 센서가 있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분산되어있는 서로 다른 센서들을 통신 가능하게 하는 것을 센서 웹 환경이라 한다.

  * 교통, 환경, 산업 등 전반적 센서가 사용되는 모든 분야

 - OGC의 SWE(Sensor Web Enablement)는 센서통신을 위한 표준이다.

  * 센서가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원격 상황을 지원하는지 등을 시험한다.



위치 측위 방법 (GPS, AGPS, 네트워크 방식)

 - 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최대 2만 km 떨어진 위치에 지구를 공전하며, 24개의 위성을 근거로 한다. 각 위성들은 지상 수신기 위치와의 '삼각 측량'을 하는 중심 점 역할을 한다. 수신기로부터 세개 이상의 위성으로 부터 '삼각 측량'을 하고, 다른 한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오차를 수정한다.

 - AGPS : Assisted GPS,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GPS)를 단말기 내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측위기술, GPS를 통해 도심이나 실내에서 위치를 추적하려하면 정확도와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방식과 결합한 방식.

 - 네트워크 방식 : 무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위치를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알아내는 측위 기술,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이나 시간 등을 이용하여 망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이 단점.


 

증강현실 기법 이용 사례

 - OVJET : 위치 기반 증강현실 앱 오브제는 최대 2km의 정보를 검색해주고 리스트 보기로 간편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 스캔서치 : 영상 인식 기반 증강현실 앱으로 책 표지, 음반 자켓, 영화 포스터 등을 카메라로 찍으면 이미지를 분석해 자동으로 관련 정보들을 모아서 보여준다, GPS를 활용하여 카메라로 거리를 비추면 주위 상점 정보(전화번호, 웹사이트, 지도 정보 등)를 자동으로 찾아주는 거리검색 기능을 포함한다.



'U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라이다  (0) 2014.05.11
NSDI, 실내공간 객체추적  (0) 2014.05.11
측량  (0) 2014.05.11